*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
IaaS (Infrastructure as a Service) : 서버나 스토리지 등의 인프라 장비를 빌려주는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
PaaS (Platform as a Service) : 플랫폼을 빌려주는 형태의 서비스. 개발자는 OS,플랫폼 관리에 대한 부담 없이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고 API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쉽게 개발할 수 있음.
SaaS (Software as a Service) : 소프트웨어 자체를 서비스로 제공함.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언제 어디서든 접속해서 사용하면 되는 구조이고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및 보안 관리 등은 신경쓸 필요가 없음. 즉,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모든 부분을 관리해주는 서비스.
* 하이퍼바이저 (Hypervisor)
-> OS + VM구동하는 Application
-> Type1 : 가상화 전용 Hypervisor
-> Type2 : 기존OS에 Application 형태로 설치됨
* Pass-Ta
-> 정부에서 개발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플랫폼 서비스
-> https://pass-ta.kr/
-> 개발능력은 있으나 인프라를 가지지 못한 개발자들을 지원
* Ubuntu 설치
Download -> 20.04 LTS 다운로드
* CentOS 에서 자동설치 명령
-> dnf
* Ubuntu 에서 자동설치 명령
-> apt-get(구) , apt(신)
* 처음에 ifconfig 명령어 실행 (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음)
$ sudo apt install net-tools
$ ifconfig
* ssh 설치
$ sudo apt install ssh // ssh 설치
$ sudo service ssh start // ssh 서비스 시작
$ netstat -na | less // 서비스 상태확인 ( ssh의 경우 22번 )
* 사용자 만들기
sudo adduser twice // 홈디렉터리 없음 -> FTP 로그인이 안됨 ( SSH는 가능 )
sudo passwd twice
-----------------------
sudo useradd blackpink // 홈디렉터리 생성 -> FTP 로그인이 가능
----> Ubuntu 에서는 useradd와 adduser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생성해야 됨.
* MariaDB 설치
$ cd ~
$ sudo wget http://sp.mysqltutorial.org/wp-content/uploads/2018/03/mysqlsampledatabase.zip
$ sudo unzip mysql<tab>
$ sudo -i
# apt instll -y mariadb-server mariadb-client
# apt install vim // vi 편집기를 최신 버전으로 설치
# mysql_secure_installation // MariaDB 보안을 강화하는 설정 (실무에서 필수)
# mv mysampledatabase.sql goods.sql
# mysql -u root -p // MariaDB 시작하기
MariaDB[(none)]> source /home/gyu/goods.sql // 완성되어 있는 테이블을 불러옴
MariaDB [classicmodels]> show tables; // 테이블 조회
* Docker
-> 리눅스 호스트 위에서 다른 리눅스들과 커널을 공유하는, 격리된 컨테이너를 올려주는 툴
-> 지금의 이유를 얻게 된 이유 : 리소스, 속도, 표준화, 자동화, 격리
'TIL (Today I Learned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-02-02 (0) | 2021.02.02 |
---|---|
2021-02-01 (0) | 2021.02.01 |
2021-01-28 (0) | 2021.01.28 |
2021-01-27 (0) | 2021.01.27 |
2021-01-26 (0) | 2021.01.26 |
댓글